2020. 10. 25. 22:31ㆍ전기기사 실기/송배전 및 접지
'차폐 케이블'이란 무엇입니까?
통신선은 민감하여 전자기파를 맞을경우 신호가 왜곡 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uPRE/btqLEMDt2Aq/uBf6WoMDYtlXffDIKirUU1/img.png)
전자기파는 금속판을 거의 통과하지 못하는 성질이 있는데,
이 성질을 이용하여 케이블 신호선 외곽에 또하나의 금속체를 삽입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ehktn/btqLGY3ZLV4/wYqxGKa9j7yJtfKZi68xBk/img.jpg)
내부에 있는 금속이 사용하는 선 (주로 통신선)이며,
외부에 감겨있는 금속 부분이 차폐선입니다.
차폐선과 사용하는선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야 하므로 절연물을 삽입하게 되는데,
위의 하얀부분이 절연물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lupEh/btqLGZoj7Uc/dXc0mIXxNuw5SoJg0ORM1K/img.png)
위와같이 되어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차폐 케이블의 접지
차폐 케이블은 접지에 있어서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전원부와 부하측의 접지방법이 다르다는게 그 점인데요,
조금 어려울 수 있으니 그림으로 먼저 보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dFM2S/btqLLHuXasC/0kRYHpoqDuZLOFaVhr0rX1/img.png)
ZCT란 영상변류기 입니다.
R S T 상이 대칭일땐 0에 가까운 값을 나타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6zrnw/btqLSO0tnmS/lk7HbyqouZC9sXvbYCOdjK/img.png)
그리고 이제 접지의 방법을 선택해야 하는데
차폐선 접지의 방식으로는
1. 접지선을 ZCT에 통과시키지 않는다.
2. 접지선을 ZCT에 통과시킨다.
두개로 분류됩니다.
전원부는 반드시 2번 접지방식, 부하부는 반드시 1번 접지방식을 택해야 하는데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1) 전원부 에서의 차폐선 접지
- 잘못된 접지법
![](https://blog.kakaocdn.net/dn/dxQ2NG/btqLNrSYEep/rwzcEBRXeB1NUgWUpV4X31/img.png)
T상 선로 중간에 지락이 생겨 차폐선으로 전류가 흘러들어갈경우입니다.
T상과 차폐선의 지락전류가 대칭이므로 ZCT는 지락전류를 검출하지 못하고, R과 S상의 미약한 차이만을 검출합니다.
따라서 잘못된 접지방식입니다.
- 올바른 접지법
![](https://blog.kakaocdn.net/dn/bSVdLy/btqLNr6ydiE/04JribplkSkmoyuTGSVyh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emSsS/btqLIIurLzb/ckrn9zkLz0WOW40UBkfQw0/img.png)
2개선은 서로 상쇄되지만 나머지 하나의 선이 남아
ZCT에 대전류를 공급하고, 차단기를 동작시킵니다.
2) 부하측 에서의 차폐선 접지
-올바른 접지
![](https://blog.kakaocdn.net/dn/7ghND/btqLLHomWhX/FOsESxkf2f05IxRjsomze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tDjGD/btqLLGJK5kC/Lgh0i3FOopFcjHx3BBVQOk/img.png)
부하측 접지는 딱히 생각 할 필요없이
그냥 차폐선을 접지해주시면 지락시 검출이 잘 되는
올바른 접지가 됩니다.
'전기기사 실기 > 송배전 및 접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실기) 1. 저압전로의 절연성능과 누설전류 (0) | 2020.10.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