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17)
-
전기기사) 단권변압기
단권변압기란 무엇입니까? 단권변압기란 단일 코일에 의해 전압을 변성하는 변압기를 말하며 영어로는 'autotransformer'라고 합니다. 이때, auto- 는 '단일'이라는 접두사의 의미로 사용되었으므로 사실 '한번 말았다'의 '단권'보다는 '단일 코일 변압기'가 본래 의미에 가깝습니다. 단권변압기의 원리는 무엇입니까? 공급전압을 흘려주면 분로권선에 흐르는 전압을 반발하기 위해 직렬권선에 새로운 전압이 형성됩니다. 이때 이 새로생성된 전압과 공급전압은 부하측에서 보면 가산되기 때문에 부하측은 고전압을 얻게됩니다. 이 고전압을 Vh로 표기해줍니다 (high 의 줄임) 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전압을 얻은만큼 그 반발작용으로 전류가 감소하여 부하측은 동일한 전력을 받게됩니다 명칭 새로운 전압을 쓰는 2차부하..
2020.11.12 -
전기실기) 과전류차단기의 분기선 시설위치
1편 간선의 허용전류 https://estein.tistory.com/16 2편 과전류 차단기의 선정 https://estein.tistory.com/17?category=902030 3편 과전류 차단기의 분기선 시설위치 https://estein.tistory.com/18?category=902030 들어가기 간선과 분기선에는 각각 과전류차단기(혹은 개폐기)가 시설되어야 합니다 간선과 분기선이 만나는점을 분기점이라 하고 분기선에 시설되는 과전류차단기는 기본적으로 이 분기점으로부터 3m이내에 시설되어야 합니다. 그림으로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만약 분기선의 굵기가 굵어 허용전류가 충분히 크다면, 분기점으로부터 8m이하 혹은 임의의 길이에 시설이 가능합니다. 다음은 분기점으로부터 8m이하에 시설가능한 경우입니..
2020.09.09 -
전기실기) 과전류 차단기의 선정
1편 간선의 허용전류 https://estein.tistory.com/162편 과전류 차단기의 선정 https://estein.tistory.com/17?category=9020303편 과전류 차단기의 분기선 시설위치 https://estein.tistory.com/18?category=902030 과전류 차단기는 아래 중 작은값을 정격으로 선정합니다. im=전동기전류IH=전열기전류In=간선의 허용전류 이에따라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은 전동기,전열기 전류 or 사용하는 전선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알수있습니다. 작은값으로 선정하는 이유 과전류를 낮은값에서 차단할수록 선로가 소손되는 경우가 줄어드므로 '작은값'이 성능이 좋고 우선되는 값입니다. 간선의 허용전류는 이와반대로 클수록 간선이 굵고 소손이 덜되므로..
2020.09.09 -
전기실기) 간선의 허용전류
1편 간선의 허용전류 https://estein.tistory.com/162편 과전류 차단기의 선정 https://estein.tistory.com/17?category=9020303편 과전류 차단기의 분기선 시설위치 https://estein.tistory.com/18?category=902030 들어가기 간선은 여러 분기선들의 줄기가 되는 선으로 많은 전류가 흐릅니다. 전동기가 많은 간선은 전류의 변화폭이 크므로 계산된 총 전동기 정격전류의 합에 일정한 값을 곱하는 방법으로 여유분을 주는데 이를 '안전율' 이라 합니다 (에어컨, 난로등을 모두 전열로 분류하는데 전동기보다 전열이 클경우 안전율을 선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안전율의 선정 간선의 안전율을 선정하는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효/무효 전..
2020.09.09 -
전동기의 기동,역회전 방법 모음
기동법 1. 직류기 - 직류전동기 전압제어법, 저항제어법 좋은설명해놓은곳 링크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jsrhim516&logNo=220876371738 2. 동기기 - 동기전동기 자기 기동법, 유도 전동기법 3.유도기 3상 - 농형 유도전동기 전전압기동법(5kw 이하) , 와이델타기동법(5~15kw), 리액터 기동법, 기동보상기법(15kw 이상) - 권선형 유도전동기 2차 저항 기동법, 2차 임피던스 기동법 단상 반발기동형, 반발유도형, 콘덴서기동형, 분상기동형, 셰이딩코일형 역회전법 1. 직류기 - 직류전동기 계자권선과 전기자권선중 하나의 접속을 반대로 변경 2. 동기기 (출제된적없음) - 3상 동기..
2020.08.30 -
전기실기) 거리계전기 (계전기측에서 본 임피던스)
거리계전기의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거리계전기는 발, 변전소에 위치하여 PT와 CT를 사용하여 동작합니다 거리계전기를 자세하게 들여다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릴레이의 동적부분에서 PT와 CT는 각각 반대반향의 토크를 제공하기 때문에 평시에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거리계전기의 전압/전류비를 '계전기측에서 본 임피던스' '계전기의 임피던스' 라고 부릅니다. 만약 지락이 났을 경우 전류값이 증가합니다 이는 곧 임피던스의 하락을 의미합니다 (거리계전기는 임피던스의 하락시 동작합니다) 또한 토크에 불균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거리계전기를 활성화 상태로 만듭니다. 거리계전기 임피던스의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전류와 임피던스는 반비례 하는것을 위 그림들에서 알수있습니다.
2020.08.28